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김민지 기자의 휴가로 정치부 송찬욱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볼까요.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, 뭘 셀프로 했습니까?<br><br>칭찬입니다.<br> <br>정부의 코로나 대응을 자화자찬했는데요. <br><br>Q. 신규 확진자 수가 49일째 네 자릿수인데요. 어떤 부분을 잘했다는 건가요?<br> <br>어젯밤 국회 운영위원회 업무 보고에서 한 유영민 비서실장의 말, 직접 들어보시죠. <br><br>[김성환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어제)] <br>"문재인 정부가 지난 4년 5개월간 가장 국민들한테 잘했다고 생각하시는 것 세 가지만 있으시면 한번 말씀해보세요." <br> <br>[유영민 / 대통령 비서실장 (어제)] <br>"역시..." <br><br>임이자 / 국민의힘 의원 (어제) <br>"깜짝 놀랐어요. 대한민국 국민들이 지금 이 시각에도 마스크를 쓰고 있는 한 그런 자화자찬은 국민들이 봤을 때는 웃습니다." <br><br>Q. 잘한 일 세 가지 중에서도 코로나 대응을 가장 먼저 떠올린 이유가 뭘까요.<br> <br>글쎄요. 코로나 대응을 잘 했다고 자랑을 하면서도, 국민들은 언제쯤 일상으로 돌아갈까, 그 질문엔 자신있게 답하지 못했습니다. <br><br>강민국 / 국민의힘 의원 (어제) <br>"단도직입적으로 하나 물어보겠습니다. 이 마스크는 언제 벗을 수 있습니까?" <br> <br>유영민 / 대통령 비서실장 (어제) <br>"어... 지금 뭐 전 세계적으로 마스크를 벗었다 썼다 그렇게 하고 이... 아마 분명한 것은 지금 우리가 상당한 방역에 지금 성과가…."<br> <br>제가 계속 들어봤는데 언제 벗을 수 있는지는 끝까지 답하지 않았습니다. <br><br>Q. 백신 접종율이 OECD 꼴찌 수준인데 대해서는 뭐라 말이 없는 거죠? <br><br>사흘 전에는 문재인 대통령은 백신 접종 속도가 예상보다 빠른 진도로 진행되고 있다며 셀프 칭찬을 했는데요. <br> <br>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의 생각은 좀 달랐습니다. <br><br>정은경 / 질병관리청장 (어제) <br>"저희가 예방 접종률 완료율이 늦은 상황입니다. 10월까지는 2차 접종률을 70% 달성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."<br> <br>코로나 방역에 대한 평가는 청와대가 아닌 국민의 몫이라는 점, 잊지 말았으면 합니다.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'이랬다저랬다', 김의겸 열린민주당 의원 요즘 자주 등장하네요<br> <br>네, 이번엔 언론중재법 이야기인데요.<br><br>김 의원은 알려진 것처럼 기자 출신인데요. <br> <br>친정인 한겨레신문 오보가 자신이 추진하는 징벌적 손해배상 대상이 되는지에 대해선 법원의 판단에 맡기자고 했습니다. <br><br>[진중권 / 전 동양대 교수(지난 4일, CBS 라디오 '한판승부')] <br>"한겨레신문에서 윤석열 총장을 음해하기 위해서 별장 성 대접을 받았다고 얘기를 했단 말이죠. 그것은 징벌적 손해배상의 대상이 됩니까, 안 됩니까?" <br> <br>[김의겸 / 열린민주당 의원(지난 4일, CBS 라디오 '한판승부')] <br>"판사들에게 재량권까지 주지 않고 지금 이 자리에서 되느냐, 안 되느냐 이렇게 물어보는 것은…."<br> <br>이랬던 김 의원, 지난 18일에는 징벌적 손해배상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법원을 못 믿겠다고 합니다. <br><br>[김의겸 / 열린민주당 의원(지난 18일)] <br>"국민들이 받는 손해배상액이 너무 적다…" <br>"물론 법원을 믿고 판사님들의 의견을 존중할 수 있다면 괜찮은데 현실적으로 그러지 못해 왔다." <br><br>Q. 당시 속기록을 보면, 김 의원은 징벌적 손해배상액 최저금액을 천 만 원으로 정하자고 주장하더라고요. 천만 원 기준이 뭡니까?<br> <br>직접 들어보시죠. <br><br>[김의겸 / 열린민주당 의원(지난 18일)] <br>"1,000만 원을 든 이유 중의 하나는 제가 찾아보니까 대기환경보전법에서 굴뚝에서 오염 물질을 배출할 때 벌금액이 5,000만 원이더라고요."<br> <br>언론 보도를 '오염 물질'로 비유하면서 "5,000만 원에 비해 1,000만 원이 그렇게 많은 것도 아니다"라고 주장한 겁니다. <br><br>Q. 당시 회의가 안건조정회의인데, 원래 여야 의원 같은 수로 구성해야 하잖아요. 그런데 김의겸 의원이 야당 몫으로 들어가면서 논란이었죠.<br> <br>여당 의원들도 김의겸 의원이 여당인지 야당인지 헷갈리는 듯한 모습을 보였습니다. <br><br>[김승원 / 더불어민주당 의원 ](지난 18일) <br>"야당 위원님들 안 계시지만 더욱더 충실한 논의가 되도록…" <br><br>[전용기 / 더불어민주당 의원 ](지난 18일) <br>"오늘 야당 위원님들이 지금 안 계시지만…"<br> <br>상황에 따라 말이 달라지고 여당인지 야당인지도 헷갈린다는 것, 언론중재법을 무리하게 밀어붙이고 있다는 방증이 아닐까 싶습니다. <br><br>Q. 권력을 비판하는 기자 출신이 국내외 언론단체들이 반대하는 언론 법안을 주도하는 것도 아이러니합니다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><br><br /><br /><br />송찬욱 기자 song@donga.com <br />구성: 송찬욱 기자·김지숙 작가<br /> 연출·편집: 정새나PD·배영진PD<br /> 그래픽: 성정우 디자이너